뇌사 식물인간 차이에 대하여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읽어주시면 뇌사 식물인간 차이를 알아두시는 것에 지원이 될 것입니다. 뇌사 식물인간 차이의 정보가 필요하시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밑에서 뇌사 식물인간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사 식물인간 차이
아직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분들은 뇌사와 식물인간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요. 여러분은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를 알고 있나요?
뇌사는 뇌간 기능까지 마비돼 인공호흡기로 생명을 유지하지만 호흡기를 제거하면 바로 죽는 경우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뇌사란 말 그대로 뇌의 죽음을 말한다면서 대뇌와 뇌간 모두 복구할 수 없는 손상을 입어 뇌 전체의 활동이 정지된 상황을 말합니다.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입니다.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식물인간은 대뇌에 심각한 손상을 입어 셀 수 없이 많은 인지기능이 소실되고 환자는 의식이 없어 자극에 반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즉 대뇌의 판단으로 이루어지는 반응을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뇌간이 손상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깨어나는 행위, 무의식 반사반응, 호흡 등은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물인간은 뇌기능 장애로 호흡과 소화, 순환과 혈압은 정상이고 의식은 없지만 대사기능은 가능하므로 음식을 강제로 먹여서 생명을 이어갈 수 있으며 몇 달에서 몇 년 후 회복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인간은 법적으로 장기기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렇다면 뇌사는 어떻게 다를까요?
뇌사는 뇌간을 포함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뇌기능이 정지된 상황으로 식물인간과 달리 뇌간의 기능이 정지돼 기계의 도움 없이는 호흡이나 심박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며, 즉 깨어나는 행위, 무의식반응 등을 스스로 할 수 없습니다. 또 뇌사는 앞서 언급한 식물인간과 달리 뇌기능마비로 대사기능이 불가능하다며 호흡과 소화도 안 되고 순환과 혈압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뇌기능이 완전히 정지돼 회복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반드시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따라서 뇌사 상황의 환자는 법적으로 장기 기증 대상이 됩니다. 좀 더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식물인간입니다.
손상 부위 : 대뇌의 일부입니다.
정신 상황: 무의식의 상황입니다.
기능 장애 : 기억 / 사고 등의 대뇌 장애입니다.
운동 능력: 의도치 않은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호흡 상황: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있습니다.
경과 내용: 몇 개월에서 몇 년 후에 회복될 수 있습니다.
기타 : 장기기증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입니다.
뇌사입니다.
손상 부위 :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입니다.
정신 상황 : 심한 혼수 상태입니다.
기능 장애: 심박수가 많이 정지합니다.
운동 능력 : 움직임이 완전히 없어요.
호흡 상황: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없습니다.
경과내용 : 반드시 사망합니다.
기타 : 장기기증 대상입니다.
같이 읽을만한 유용한 글
뇌사 식물인간 차이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