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병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면 라임병을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라임병이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아래의 포스트에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라임병



라임병이란 진드기에 물려 볼레리아균이 신체에 침범당해 여러 기관에 병을 일으키는 감염질환으로 지금처럼 뚜렷한 봄 날씨에 야외활동을 바탕으로 걸리기 쉬운 질병 중 하나입니다.
라임병입니다.
라임병은 주로 북미에서 유행하는 풍토병으로 특히 매독을 유발하는 시피로헤타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균과 동종의 보렐리아균과 같은 종에 속해 있어 라임병을 제2의 에이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라임병은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북미 지역이나 유럽 지역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으로 미국에서는 매년 30만여 명이 라임병 진단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임병의 증상으로는 초기에는 발열, 두통, 피로감, 오한, 경부 경직(목이 뻣뻣해진다) 등이 나타나며 이동홍반이라는 피부 병변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이는 가장자리가 붉고 가운데는 얇은 형태의 피부 증상을 말합니다.
라임병 증상은 보통 3단계로 나타나는데, 1단계는 진드기에 물린 후 한 달 이내에 피부 발진이 생기고 발진이 커져 비슷한 크기로 더 크게 퍼지기도 합니다. 혹은 발진, 두통, 피로감, 오한, 통증, 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단계 상황에서는 균이 신경계에까지 침입하여 근육이나 골격계 곳곳을 이동하면서 나타나는 통증, 어지러움, 숨이 차는 증상과 함께 심전도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단계인 3단계에서는 관절염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데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20% 정도에서 이런 증상을 보이며 보통 진드기에 물린 후 2년 이내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다수 라임병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심합니다. 일부 환자는 안면마비나 수막염, 기억상실 등의 증상을 겪는다며 감정 변화나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라임병은 초기에 발견해 치료를 하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곧 여러 장기로 균이 퍼져 피부질환, 뇌기능, 신진대사 등 전반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뇌염, 심근염, 부정맥, 말초신경염, 근골계 통증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혹은 다른 질환과 함께 발병했거나 면역저하가 있는 환자의 경우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항생제로 치료를 하더라도 신경계 증상, 근골격계 통증, 피로감 등 각종 증상이 수년간 지속될 수 있어 라임병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정말 드물게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라임병은 초기에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만성형이 되어 치료가 어려워지므로 자기 자신이 진드기가 여러 지역을 가거나 라임병 증상을 보인다면 가능한 한 빨리 검사를 받아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임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라임병의 원인이 되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진드기는 보통 나무나 덤불이 많은 지역에 많이 있으므로 이런 지역을 다닐 때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소매와 긴 바지를 입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읽으시면 좋은 포스트
라임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것도 궁금하시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